장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10:29
본문
Download : 장애_2097907.hwp
기능장애는 같더라도 교육이나 훈련을 충분히 쌓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과는 일상생활을 하는데 능력의 차이가 나게 된다된다. 예를 들면, 양손이 없는 지체장애인은 그림을 잘 그리기 어렵지만, 입이나 발가락으로 붓을 들고 그림을 그리는 구족화가는 그리기의 능력이 낮은 장애인은 아닐것이다. 예를 들면, 오른손을 잃은 장애인은 운전을 하거나 컴퓨터로 글씨를 쓰는데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장애인에대한인식과장 , 장애인문사회레포트 ,






장애에 대한 글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장애
장애인에대한인식과장
Download : 장애_2097907.hwp( 14 )
순서
설명
Ⅰ. 서 론
1. 들어가면서
Ⅱ. 본 론
1. 장애의 정이
2. 장애의 범주
3. 장애를 바라보는 여러 관점
4.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복지
5. 장애인 등록절차
6. 장애인복지 전달체계
7. 장애인복지의 실태(實態)와 동향
8. 장애인복지의 발전방향
Ⅲ. 끝내면서
기능장애(impairment)는 심리적, 신체적으로 또는 해부학적인 구조나 기능의 일부가 상실된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기능상의 장애를 말한다. 예컨대,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장애인은 지하철을 타기 어렵겠지만, 지하철에 엘리베이터가 있다면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따 장애인에게 差別과 편견이 적은 사회에서 장애인은 사회적 불리를 훨씬 덜 느낀다. 능력저하는 같더라도 장애인에 대한 이해도, 주거/도시環境, 재활에 관한 제반 시책 등이 충분히 갖추어진 사회와 그렇지 못한 사회에서의 장애인의 사회적 불리는 다르다.
능력저하(disability)는 기능장애의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능력저하를 말한다. 아무리 훌륭한 의학적 기술, 교육방법과 시설을 이용하여 장애인을 치료하고 교육한다 할지라도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벽을 허물지 못한다면 장애인복지의 증진은 실효를 거두지 못할 것이다(윤동성, 2000: 201-202)…(skip)
장애에 대한 글입니다.
이처럼 기능장애와 능력저하는 개인의 신체적 기관 혹은 기능의 문제이므로 그 예방, 치료와 훈련이 중요하며, 이것을 주로 의학적 접근과 교육적 접근으로 해결해 간다.
다. .
사회적 불리(handicap)는 기능장애나 능력저하의 결과로 개인에게 나타나는 불리 때문에 그 개인의 characteristic(특성)에 따라서 그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제한을 받거나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것은 어떤 활동을 정상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방법 또는 범위에서 행하는 능력이 제한을 받거나 결여된 상태이다. 그런데,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불리를 줄이고 제거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재활이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