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l] 음운상의 특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22:35본문
Download : 음운상의 특질.hwp
이것은 발음하는 위치가 비슷한 모음끼리 결합시킴으로써 발음을 쉽게 하려는 것이다.
자음 동화에는 비음화와 설측음화가 있다아 비음화는 비음이 아닌 소리가 비음에 동화되어 같은 비음으로 변하는 것이고, 설측음화는 설측음이 아닌 말소리가 설측음을 닮아 설측음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 밖에, 국어의 음운상의 특질로는 음상의 차이로 인하여 표현 의미가 달라지는 사실을 들 수 있다아 국어의 자음 중에서 파열음 계열은 삼중 체계로 되어 있다는 사실은 앞에서 언급하였거니와, 모음 체계도 양성과 음성으로 구별되어 있어서, 이들이 지니고 있는 음상의 차이가, 어감을 다르게 만든다.
자음은 예사소리보다 된소리가, 된소리보다 거센소리가 더 강한 느낌을 나타낸다. 역사(歷史)적으로 볼 때, 모음 조화는 15세기에는 엄격하게 지켜졌으나, 그 뒤 차차 약화되어 왔다. ‘빙빙 - 삥삥 - 핑핑’, ‘뚱뚱하다 - 퉁퉁하다’ 등에서 나타나는 어감의 차이가 그 예이다.
동화 작용에는 모음 동화와 자음 동화가 있다아 모음 동화는 흔히 ‘ㅣ’모음 동화라 일컬어지는 것으로, ‘살리어→살리여’나 ‘손잡이→손잽이’와 같이 ‘ㅣ’ 모음 앞뒤의 모음이 ‘ㅣ’모음을 닮아 ‘ㅣ’모음과 비슷한 전설 모음으로 변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국어에서 모음 조화란, 알기 쉽게 말하면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결합하려는 현상이다. 이들 동화 작용은 발음의 편의를 좇아 변하는 것으로, 이 가운데 ‘ㅣ’ 모음 동화는 일반적으로 표준 발음법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자음 동화는 표준 발음법으로 인정한다. 현대어에서는 의성어, 의태어나 어간과 어미의 연결 구조 등에 남아 있을 뿐이다. ‘방글방글 - 벙글벙글, 졸졸 - 줄줄, 살살 - 슬슬, 옴찔 - 움찔’ 같은 것이 그 예이다. 음상에 의해 어감이 달라지는 대표적인 …(생략(省略))
설명
음운상의 특질
국어의특징 , 음운상의 특질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음운상의 특질.hwp( 65 )
순서
국어의특징
다.




레포트/인문사회
모음 조화도 알타이어의 공통 특질 중의 하나로 지적되는 것이다. 모음의 경우는 양성 모음 쪽이 음성 모음에 비하여 ‘작고, 밝고, 경쾌하고, 가볍고, 명랑한’ 느낌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