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의 쓰레기 문제-그 現況(현황) 과 대안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14:49
본문
Download : 서울대의 쓰레기 문제-그 현황과 대안을 중심으로.hwp
2-3-2-2 연도별 폐액 수거 동향
‘95년부터 2003년도까지의 연도별 폐액 수거 동향은 <표 3>과 같고 유기폐액의 수거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은 test(실험) 및 연구활동의 신장과 test(실험) 유해폐액의 처리에 대한 필요성(必要性)이 예전보다 널리 인식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아직도 분별수집되어 수거된 폐액의 ingredient을 조사하여 보면 유기폐액과 무기폐액이 혼합되어 있어 처리에 많은 지장을 주고 있으므로 좀더 세심한 분별 수집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서울대쓰레기17 , 서울대의 쓰레기 문제-그 현황과 대안을 중심으로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Download : 서울대의 쓰레기 문제-그 현황과 대안을 중심으로.hwp( 91 )
서울대 쓰레기 처리 現況(현황) 과 결점 그리고 그 대안을 모색한 리포트입니다.
3-5 test(실험) 실 폐기물의 problem(문제점)과 대안
3-5-1 (problem(문제점)5) 폐기물 관리 투명성확보가 힘들다. 이것은 쓰레기를 처리하는 사람이나 버리는 사람에게 커다란 혼란
을 줄 수 있다고 앞에서 언급한 바가 있다 아래의 사진을 살펴보자.
그림1 학생회관 앞
그림 2 학생회관 3층 그림 3 자연대 28동
그림 4 인문대 8동
조사 결과, 그림 3의 경우가 분리수거가 가장 잘 되어…(省略)
서울대의 쓰레기 문제-그 現況(현황) 과 대안을 중심으로
,공학기술,레포트
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거 폐액은 유기계 폐액 총 65,920ℓ, 무기계 폐액 총 30,880ℓ였으며 대학별 수거량은 무기계 폐액이 자연과학대학 > 반도체연구소 > 공과대학 > 약학대학 순으로 이들 기관이 전체의 83.4%, 유기계 폐액은 자연대 > 약학대 > 공대 순으로 이들 기관이 전체 84.9%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보다 연구량이 많은 동경대와 비교했을 때 86년도에는 동경대의 1/6 정도가 수거되었는데 비해 현재는 1/2 정도가 수거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과거보다는 수거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생각한다.
서울대쓰레기17
설명
서울대 쓰레기 처리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그 대안을 모색한 리포트입니다.






레포트/공학기술
Ⅰ. [서론] 왜 서울대, 쓰레기 문제인가?
Ⅱ. [본론] 서울대의 쓰레기 처리 동향
1. 전체적인 체계도
- 생활쓰레기, 음식쓰레기, test(실험) 실 폐기물
2. 자세한 처리 과정 & 쓰레기 양
2-1. 생활 쓰레기
2-1-1 분리수거 동향
2-1-2 매립용 쓰레기
2-1-3 재활용 쓰레기
2-2 음식물 쓰레기
2-3. test(실험) 실 폐기물
3. 문제제기 & 대안제시
3-1 생활 쓰레기 처리 과정에 있어서의 problem(문제점)과 대안
3-1-1 통일된 분리수거 체계가 없다
3-1-2 (대안1) 분리수거 체계를 통일화하고 이를 본부에 제시
3-2 생활 쓰레기를 버리는 학생들의 problem(문제점)과 대안
3-2-1 (problem(문제점)2) 분리수거 의식 부족
3-2-2 (대안2) 올바른 분리수거 캠페인
3-3 생활 쓰레기를 만들어내는 생활습관의 problem(문제점)과 대안
3-3-1 (problem(문제점)3) 쓰레기 양이 너무 많다
3-3-2 (대안3) 쓰레기 양을 줄이는 생활습관 만들기
3-4 음식물 쓰레기의 problem(문제점)과 대안
3-4-1 (problem(문제점)4) 잔반의 양이 많다
3-4-2 (대안4) 배식량을 줄이고 가격도 낮춘다.
교내에서 발생되는 총 폐액 중 수거비율이 어느 정도 되는지는 environment(환경) 안전원에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대략 동경대의 경우와 비교하여 추측하는 정도이다.
3-5-2 (대안5) test(실험) 실 관련규정 법제화와 예산 지원, environment(환경) 의식 고양
Ⅲ. [결론]
2003년도의 각 기관별 무기 및 유기폐액의 수거동향은 <표2>와 같다.
3. 문제제기 & 대안제시
3-1 생활 쓰레기 처리 과정에 있어서의 problem(문제점)과 대안
3-1-1 통일된 분리수거 체계가 없다
3p의 <표1>을 다시 한번 살펴보자. 이를 보면, 쓰레기통의 수가 차이가 있으며, 분리수거체계도 일관적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