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와 우계의 성리사상 비교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13:58본문
Download : 퇴계와 우계의 성리사상 비교론.hwp
, 퇴계와 우계의 성리사상 비교론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퇴계와 우계의 성리사상 비교론.hwp( 29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퇴계의 리기호발상수와 우계의 재발주리주기 일발일도) 資料입니다. 無聲無臭하고 無營無定한 理이긴 하지만 어느덧 氣로 하여금 醞釀凝聚케 하는 所能을 發揮하는 것이 또한 理이다. 朱子語類卷一을 보면 「蓋氣則能凝結造作, 理却無情意無計度無造作, 只此氣凝聚處, 理便在其中」(대개 氣는 능히 응결 조작하지만 理는 문득 情意도 없고 計度도 없고 造作도 없다. 退溪答高峰非四端七情分理氣辯第二書에서 退溪가 「論性而理在氣中」이라 말했지만 일찍 퇴계(1501~1570) 보다 371년전에 出生했던 朱子(1130~1200)에게서 나온 말이기도 하다.
Ⅰ. 緖 論
性理學의 「性」과 「理」는 아무런 根據도 없이 맞춰진 낱말이 아니다. 無形無爲하고, 空寂沖漠한 理가 形氣(分殊之氣) 속에서는 性이요, 그 形氣가 地水火風으로 散華되면 다시 理로 돌아갈 뿐이다.
퇴계와 우계의 성리사상 비교론






순서
退溪의 理氣互發相須와 牛溪의 纔發主理主氣 一發一途
다. 다만 이 氣가 응취한 곳에 理는 문득 그 가운데 있다)이니 「理便在其中」의 理가 곧 性이다. 理氣와 性理의 문제가 정식으로 논의된 것은 朱子보다 100년쯤 올라가 伊川(1033~1107)의 「性卽是理」와 「性卽理也」, 所謂理性是也(이른바 理가 性이라고 함은 이것이다)에서 비롯된 말인데…(skip)
退溪의 理氣互發相須와 牛溪의 纔發主理主氣 一發一途(퇴계의 리기호발상수와 우계의 재발주리주기 일발일도) 자료입니다.